전체 글
-
프레임 열변형 테스트: 알루미늄 vs 크롬몰리 – 열에 약한 건 누구인가?VintageBikeLab 2025. 5. 17. 20:53
테스트 목적과 배경 – 열변형 관점에서 본 프레임 소재의 내열성자전거 프레임 소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는 알루미늄과 크롬몰리 스틸이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나지만 열에 약하다는 인식이 강하며, 크롬몰리는 내구성과 복원력이 좋지만 무겁고 녹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이 두 소재가 열에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는 체계적인 실험이 부족하다. 이론적 설명은 많지만, 동일 조건에서 비교한 실측 자료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본 테스트는 동일한 열 조건에서 알루미늄과 크롬몰리 프레임의 변형 정도, 복원력, 외형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사용자가 주의해야 할 정비·보관·세팅 요령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열변형이라는 비일상적인 극한 상황에서 각 소재의 한계를 드러내는 이..
-
슈퍼레코드 구동계 vs 신형 105 혼합 세팅 실험 – 클래식 vs 모던, 어디까지 호환되는가?VintageBikeLab 2025. 5. 17. 16:30
실험 배경과 목적Campagnolo 슈퍼레코드(1980~1985) 구동계는 당대 최고의 레이싱 파츠로, 정밀한 가공, 가벼운 무게,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클래식 매니아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반면 Shimano의 최신 R7100 105 Di2는 전동식 구동계의 표준을 제시하는 현대적 기술 집약체로, 정밀성과 반응 속도, 변속 타이밍에서 확연히 다른 접근을 보여준다. 본 실험은 두 세대를 대표하는 구동계를 혼합 구성했을 때 실제 라이딩에서 어떤 차이점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감성·기능 측면 모두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단순히 부품 호환성을 따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레트로-모던 하이브리드 자전거의 가능성과 정체성을 탐색하는 계기를 만들기 위함이다.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실험이..
-
80년대 캄파놀로 허브 베어링 교체 가이드 – 클래식 감성 속 정밀 기술의 조화VintageBikeLab 2025. 5. 17. 13:21
왜 80년대 Campagnolo 허브가 특별한가?캄파놀로(Campagnolo)는 20세기 자전거 기술의 정점이었다. 특히 1980년대의 Record, Super Record, 그리고 이후 등장한 C-Record 허브는 모두 전통적인 컵 앤 콘(Cup & Cone) 구조를 채택하여, 현대 허브들과는 다른 정밀성과 부드러운 회전감을 제공한다. 당시에는 신품 상태에서 '스핀다운 20초'가 가능할 정도로 저항이 적었고, 부드러운 스틸 볼과 경질 열처리된 컵·콘 구조가 수천 km 주행에도 형태를 유지할 만큼 내구성이 뛰어났다. 이 허브들이 제공하는 촉감은 단순히 기계적 성능을 넘어서 예술적이라고 평가되며, 핸드빌트 휠에서 최고의 부품으로 꼽히곤 했다.무엇보다 이 허브들이 특별한 이유는 정비 가능성과 장기적인 내구..
-
프레임 크랙 잡는 비밀무기, 보어스코프 실제 사용기VintageBikeLab 2025. 5. 17. 10:09
보어스코프 사용의 필수성자전거 프레임 내부의 크랙은 겉으로 보기에는 전혀 이상이 없어도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숨겨진 위험 요소이다. 육안으로는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내부의 미세한 결함을 정확히 탐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장비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프레임 소재별로 크랙 발생 양상이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보어스코프를 이용한 면밀한 검사가 중요하다. 크롬몰리 프레임은 헤어라인 크랙이 내부에서부터 점차 외부로 확장되며, 알루미늄 프레임은 용접 부위 및 열처리 구역에서 쉽게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카본 프레임은 제조 공정상 생기는 층간 분리와 미세 공극이 크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특히 세심한 검사가 필요하다. 필자는 최근 반년 동안 다양한 소재의 프레임 30대..
-
프레임 실금 탐지용 보어스코프 사용 후기 — EndoCam E6로 크롬몰리·알루·카본 프레임 30대를 조사한 실전 로그VintageBikeLab 2025. 5. 15. 15:51
왜 ‘보어스코프’가 이제 필수 장비인가?프레임 실금(crack)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고 유발 1순위다. 헤드튜브–다운튜브 접합부의 헤어라인, BB쉘 내벽의 박리, 카본 레이업의 공극(VOID)처럼 튜브 내부에서 시작해 외부로 퍼지는 결함은 육안·플래시라이트로는 잡히지 않는다. 고가의 X-ray 검사 장비 대신, 1 cm 이하 좁은 공간을 360°로 스캔할 수 있는 보어스코프(Borescope) 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필자는 지난 6개월간 크롬몰리 531·알루미늄 7005·카본 모노코크 등 프레임 30대를 EndoCam E6(6 mm Ø, 1 080 p) + 5 m 세미리짓 케이블로 전수 검사했다. 그 결과를 ‘장단점·오진 사례·크랙 진단 정확도·보험 비용 대비 효과’ 항목별로 정리했다.장비 스펙과 ..
-
80 년대 캄파놀로 허브 베어링 교체 가이드 — Record·Super Record·C-Record 전 모델 공통VintageBikeLab 2025. 5. 15. 10:02
“캄파놀로 허브를 다시 숨 쉬게 만드는 일”80년대 캄파놀로 Record·Super Record 허브는 두 가지 얼굴을 지닌다. 밖에서 보면 “크롬이 반짝거리는 빈티지 보석”이지만, 안을 열어 보면 40년 세월 동안 한 번도 교체되지 않은 스틸 볼이 컵에 미세한 홈을 파고, 마치 LP 바늘이 음반을 긁듯 회전마다 금속 분진을 갈아낸다. 많은 라이더가 “캄파는 워낙 정밀해서 손대면 오히려 망가진다”는 말을 믿고 그대로 탄다. 하지만 그 정밀함은 **발매 당시 ‘신품 상태’**일 때만 유효하다. 지금은 낡은 그리스가 돌처럼 굳어 베어링 통로를 막고, 프리로드가 조금만 어긋나도 허브 축이 휘핑을 일으켜 프레임 엔드까지 스트레스를 전달한다. 게다가 80년대 캄파 컵·콘은 특별히 단단한 HRC60 열처리 강종이라..
-
중고 자전거 매물 판별 올인원 체크리스트VintageBikeLab 2025. 5. 14. 17:58
중고 자전거를 고를 때 가장 흔하게 듣는 후기가 “겉은 멀쩡해 보였는데 타다 보니 숨은 균열이 터졌다”는 이야기다. 자전거는 자동차처럼 외부 판넬을 뜯어보지 않고도 내부 구조가 그대로 노출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프레임 비드의 미세 크랙, 스티어러 튜브의 압궤, 브레이크 마운트의 오프셋처럼 치명적인 결함은 한눈에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온라인 거래가 보편화된 지금은 판매자가 고해상도 사진 세 장만 올려도 매물이 금세 팔려 나가니, 구매자는 ‘선점 욕심’ 때문에 확인 절차를 생략하기 쉽다. 그러나 리콜 대상 크랭크가 달린 카본 로드 한 대를 들여와 수리하다 보면, 숨은 공임·교체 부품 값으로 원가의 두 배가 순식간에 날아간다. 결국 **“지금 안 보고 넘어간 10 분”**이 추후 수백 킬로미터의 주행 시간과..
-
클래식 픽시 vs 레트로 로드 — 취향·용도별 완벽 선택 가이드VintageBikeLab 2025. 5. 14. 14:53
왜 ‘픽시 대 로드’ 논쟁이 다시 불붙었나? 서울·부산 같은 대도시에서 픽시는 20062012년 ‘메신저 문화’와 스트리트 패션이 결합해 한차례 폭발했다. 반면 레트로 로드는 코로나 봉쇄기에 사람들이 “혼자 달릴 수 있는 아날로그 취미”를 찾으면서 198090년대 철(鐵) 프레임 복원 붐으로 부상했다. 두 트렌드는 원래 따로 흐르다 2025년 들어 다시 동시에 치솟는 독특한 그래프를 그린다. ① 리세일·경매 플랫폼 확장 당근마켓·크림·엑스포츠옥션 등 C2C 마켓플레이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NOS(New-Old-Stock)’ 트랙 허브, 캄파놀로 레코드 변속기 같은 희귀 부품 거래가 실시간으로 이뤄진다. 10년 전엔 일본 야후옥션을 뒤져야 했던 파츠가 앱 푸시 알림으로 손에 들어오니, 소비 장벽이 사..